search for




 

감비경신음을 이용한 절식요법을 시행한 비만 환자의 체중 감량 효과 및 체성분 변화에 대한 증례보고 2례
Case Reports of Weight Loss Effect and Body Composition Change in Obese Patients Using Modified Fasting Therapy with Gambigyeongsin-eum: Two Cases
J Korean Med Obes Res 2024;24:242-52
Published online December 31, 2024;  https://doi.org/10.15429/jkomor.2024.24.2.242
Copyright © 2024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지수환1,2⋅유승호1⋅서준원1⋅김세윤1⋅임정현1,2⋅김병찬1,2⋅조재흥1,2⋅정원석1,2⋅김형석1,2⋅신우철1,2⋅송미연1,2
Su-Hwan Ji1,2, Seung Ho Yu1, Joon-Won Seo1, Seyun Kim1, Jung-Hyun Lim1,2, Byung Chan Kim1,2, Jae-Heung Cho1,2, Won-Seok Chung1,2, Hyungsuk Kim1,2, Woo-Chul Shin1,2, Mi-Yeon Song1,2

1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2경희대학교 대학원 한의과대학 임상한의학과

1Department of Rehabilitation Medicine of Korean Medicine, Kyung 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Hospital, 2Department of Clinical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Mi-Yeon Song
Department of Clinical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Kyung Hee University, 26 Kyungheedae-ro, Dongdaemun-gu, Seoul 02447, Korea
Tel: +82-2-958-9299
Fax: +82-2-958-8113
E-mail: mysong@khu.ac.kr
Received July 5, 2024; Revised October 5, 2024; Accepted October 16, 2024.
cc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4.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Abstract
Obesity is a major health issue linked to various diseases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s, diabetes, and hypertension. This study is a 2 case report to evaluated modified fasting therapy using Gambigyeongsin-eum, newly developed herbal formula, to support fasting therapy. Modified fasting therapy using Gambigyeongsin-eum demonstrated significant results, including reduction in weight, body fat mass, body mass index, percent body fat, waist-to-hip ratio, and preservation of lean body mass, muscle mass, basal metabolic rate. Additionally, no side effects such as anxiety or insomnia were observed during the fasting period.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long-term effects and potential side effects due to the small sample size of our study. Our Study is a first case report using Gambigyeongsin-eum in fasting therapy and suggests that the Gambigyeongsin-eum has considerable potential and safety as a novel therapeutic option for obesity when we choose fasting therapy.
Keywords : Obesity, Korean traditional medicine, Herbal medicine
서론

비만은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는 건강 문제이다. 비만은 심혈관질환1), 당뇨2), 고혈압3), 암4) 등 다양한 질환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전 세계적으로 비만의 유병률을 관리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그 효과는 미비하다. 세계 비만 연맹(World Obesity Foundation)에 따르면, 2020년 기준 과체중(body mass index, BMI 25 kg/m2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38%, 비만(BMI 30 kg/m2 이상) 인구는 전체 인구 대비 14%로 추산되었으며, 이는 2035년에 각각 51%, 24%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5). 따라서 비만의 효과적 관리를 위해 더욱 다양하고 효과적인 치료법을 개발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한다.

절식요법은 외부 섭취를 통한 영양을 체계적으로 제한하여 체내에 축적된 저장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하여 비만을 비롯한 각종 만성질환의 자연 치유를 도모하는 치료법이다6). 절식 중에는 근육, 내장 등에 저장되어 있던 영양을 활동의 원동력으로 사용하며, 이러한 과정에서 조직 내에 축정되었던 각종 독소와 노폐물이 배출된다6). 구체적으로 절식요법은 감식기, 절식기, 회복식기의 3단계로 구성되며, 감식기 동안 점차적으로 식이를 줄여나간 후 절식기 동안 완전히 영양 공급을 중지하거나 절식보조제 등을 사용하여 제한된 최소한의 열량만을 공급하고, 회복식기 동안 점진적으로 일반식으로 증량해나가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절식요법은 한의학적으로 여러 만성질환에 적용 가능하며6), 기존의 연구를 통해 비만에 있어서 유의한 체중 감량 및 체성분 개선 효과를 입증하였다7-9).

감비경신음은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개발한 한약으로, 절식보조제로서 절식요법의 효과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개발되었다. 허로에 사용되는 처방인 당귀건 중탕과 황기건중탕의 합방에서 백작약과 계지를 빼고, 의이인과 용안육을 가한 처방으로, 의이인, 용안육, 당귀, 황기, 교이로 구성된다. 의이인은 기존 연구를 통해 동물 모델에서 체중 및 복부 지방 축적을 감소시키며, 지질 개선 및 항염증 작용이 확인된 바 있다10,11). 용안육은 항산화 및 면역 조절 기능, 항염증 효능 등이 확인된 바 있으며12,13), 불면14)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당귀의 유효성분인 decursin은 동물모델에서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산 합성효소의 발현을 억제하고 leptin, resistin, interleukin-6,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과 같은 adipocytokine을 억제하는 효능이 확인되었으며15), 황기에서 추출된 다당류는 대사 스트레스를 유발한 동물 모델에서 비만, 지방간, 신경염증 및 인지 장애를 개선하였다16). 이러한 구성 약제의 효과에 기반하여 감비경신음은 절식요법의 체중 감량 및 항염증, 항산화 작용을 증대하고, 허로, 갈증, 불면, 불안 등의 각종 부작용을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는 감비경신음을 절식보조제로 사용한 절식요법의 첫 번째 증례보고이다. 기존에 조위승청탕7), 청폐사간탕7), 감로수9) 등의 한약을 절식보조제로 사용한 연구는 존재하나, 감비경신음을 활용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의 목표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감비경신음의 절식보조제로서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둘째로, 이러한 감비경신음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구성한 절식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소개하고자 한다.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는 비만 환자를 대상으로 감비경신음과 추가적인 한방치료 및 식이 조절, 운동 처방으로 구성된 절식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비경신음과 절식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유의한 체중 감량 효과 및 체성분 변화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며, 추후 감비경신음과 절식 프로그램의 더욱 활발한 활용을 기대한다.

증례

1. 대상

2024년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에 내원한 환자 중 체성분 검사 상 BMI 25 kg/m2 이상에 해당하며, 치료 목적으로 감비경신음을 이용한 절식 프로그램을 시행한 환자 2례를 대상으로 증례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새로운 정보 수집 없이, 기존에 수집된 의무기록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연구 과정은 헬싱키 선언에 입각하여 계획 및 시행되었다. 이에 해당 연구 과정에 대해 경희대학교 한방병원 기관임상시험심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심의 승인(IRB No. 2024-04-007-002)을 받았다.

2. 치료 방법

모든 환자는 7일간의 감식기, 7일간의 절식기, 21일간의 회복식기로 구성된 절식요법을 시행하였으며, 절식기 7일은 입원 치료를 진행하였다. 각 시기별로 시행된 절식 프로그램의 구체적 내용은 다음과 같다(Table 1).

Details of Modified Fasting Therapy

Prefasting period (7 day)Fasting period (7 day)Refeeding period (21 day)
1-5th day6-7th day1-7th day1-7th day7-14th day14-21th day
MedicationPillgam 6 g, 3 times d aily, after each meal (breakfast, lunch, and dinner)Gambigyeongsin-eum 24 g, 6 times daily, taken frequently when feeling hungryGambigyeongsin-eum 48 g, once daily, taken instead of dinner--
-Chungjang-capsule 1 g 3 times daily, after each mealChungjang-capsule 1 g, once daily, after waking upChungjang-capsule 1 g, 3 times daily, after each meal-
Acupuncture and MoxibustionEA, PA 3 times per weekEA, PA 5 times per week Moxibustion 6 times per weekEA, PA twice per weekEA, PA once per week

EA: electroacupuncture, PA: pharmacoacupuncture.



1) 감식기

감식기는 일주일에 걸쳐 기존 음식 섭취량의 50%를 목표로 식이를 점진적으로 감량하였다. 이를 위해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비만치료에 활용하는 처방 중 하나인 필감 1포를 매 식전 복용하여 체중 조절 및 식욕 억제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으며, 감식기 6, 7일 차에는 매 식후 청장캡슐 1 T를 복용하여 장 운동을 촉진하였다. 필감과 청장캡슐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Tables 2, 3). 이와 함께 주 3회 복부에 장침전기자극술 및 약침 시술을 시행하였다. 장침전기자극술은 Lipodren (Sormedic)을 사용하여 주파수 30 Hz로 20분, 60 Hz로 10분 시행하였으며, 약침은 인삼약침액을 사용하였다. 감식기 중에는 현미, 야채, 과일 위주의 저염식 식단을 구성하였으며 육류, 밀가루, 인스턴트, 탄산음료, 카페인 등의 식품 섭취는 금지하였다. 7일차에는 죽으로 식이를 진행하였다. 또한 평상시의 운동량을 유지하고, 저강도 및 중강도의 유산소운동을 30분 이상 시행하도록 지도하였다.

Composition of Pillgam

CompositionAmount (g)
Rehmanniae Radix Preparata2.63
Cocicis Semen2.63
Longanae Arillus1.75
Atractyodes Rhizoma0.88
Ephedrae Herba0.88
Gypsum0.88
Scutellariae Radix0.44


Composition of Chungjang-capsule

CompositionAmount (g)
Rhei Rhizoma0.66
Natrii Sulfas0.13


2) 절식기

절식기에는 일반식의 섭취를 철저히 제한하였다. 또한 절식기간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체중 감량 효과를 증대하기 위해 감비경신음 1일 6포를 물에 타서 공복감이 들기 전에 수시로 복용하였다. 감비경신음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Table 4). 또한 매일 아침 기상 후 청장캡슐 1 T를 복용하여 장 운동을 촉진하였다. 매일 복부 장침전기자극술 및 뜸 치료를 시행하였고 주 5회 복부약침 시술을 병행하였다. 절식기에는 일반식을 철저히 제한하고, 감비경신음 희석액 외에는 따뜻한 물 혹은 카페인 성분과 열량이 없는 차의 섭취만 허용하였다. 저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매일 30분간 시행하였으며, 주 3회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환자 맞춤형 근력 운동을 30분간 시행하였다.

Composition of Gambigyeongsin-eum

CompositionAmount (g)
Longanae Arillus8.89
Coicis Semen8.89
Angelicae Gigantis Radix2.96
Astragali Radix2.96
Sacchrum Granorum17.78


3) 회복식기

회복식기에는 3주에 걸쳐 점차적으로 식사량을 증가시켰다. 회복식기 1주차에는 아침, 점심은 무염식 식이를 진행하고, 저녁은 감비경신음 2포를 복용하였다. 식이는 첫 4일 동안 소화에 무리가 없는 죽을 200 kcal씩 섭취하였으며 5일차부터는 진밥 1/2 공기를 섭취하였다. 회복식기 2주차에는 아침, 점심은 무염식 식이를 시행하였고, 저녁은 과일 혹은 생과일 주스로 대체하여 1일 총 800~1,200 kcal에 해당하는 식이를 섭취하도록 하였다. 회복식기 3주차에는 아침, 점심은 저염식을 섭취하였고, 저녁은 200 kcal 이내의 식사로 진행하여 1일 총 1,200~1,400 kcal에 해당하는 식이를 섭취하였다. 회복식기 종료 후에는 환자에 따라 1일 총 1,400~1,800 kcal에 해당하는 식이를 섭취하도록 지도하였다. 또한 회복식기 첫 2주간 장 운동을 돕기 위해 매 식후 청장캡슐 1 T를 복용하였고, 이와 함께 회복식기 첫 1주간은 주 2회, 이후로는 주 1회 내원하여 복부 장침전기자극술 및 약침 시술을 시행하였다. 중등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을 매일 1시간 30분 이상 시행하고, 환자의 상태에 맞춰 적절한 근력운동을 병행하도록 지도하였다.

3. 평가 방법

절식요법에 따른 체성분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감식기 시작 전, 감식기 종료 후, 절식기 종료 후, 회복식기 시작 후 2주차, 회복식기 시작 후 3주차에 체성분 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혈액학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절식기 시작 전, 절식기 종료 후 각 1차례 혈액 검사를 시행하였으며, 절식기 동안 매일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공복 혈당 수치를 확인하였다.

1) 체성분검사

체성분검사는 InBody 720 (InBody Co, Kore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체중(body weight),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체지방량(body fat mass), 제지방량(fat free mass), 체지방률(percent body fat), 기초대사량(basal metabolic rate), 근골격량(muscle mass), 복부-허리 둘레(waist-to-hip ratio)를 연구항목으로 하였다.

2) 혈액검사

백혈구(white blood cell), 적혈구(red blood cell, RBC), 헤모글로빈(hemoglobin), 헤마토크릿(hematocrit), 혈소판 수(platelet count), 아스파르테이트 아미노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알라닌 아미노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감마 글루타밀전이효소(gamma-glutamyl transferase), 알칼리성 인산효소(alkaline phosphatase), 나트륨(sodium), 칼륨(potassium), 염소(chloride), 단백질(protein), 알부민(albumin), C-반응성 단백질(C-reactive protein, CRP), 적혈구 침강 속도(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수치를 연구항목으로 하였다.

3) 혈압 및 혈당 수치

혈압은 매일 아침 6시에 자동 전자 혈압계를 이용하여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을 측정하였다. 자동 전자 혈압계는 HBP-1300 기기(Omron)를 사용하였다. 혈당은 매일 6시, 20시에 환자의 손가락에서 말초 혈액을 채취하여 전자 혈당 측정기를 이용하여 현장검사를 시행하였다. 전자 혈당 측정기는 Accu-check Inform Ⅱ 기기(Roche)를 사용하였다.

4. 증례 1

1) 성별/연령

F/20

2) 체중, 신장

79.1 k g, 1 68.0 cm

3) 과거력

특이 과거력 없음.

4) 가족력

특이 가족력 없음.

5) 현병력

별도의 특이 과거력 없는 환자분으로, 최근 1년간 체중 감량 및 재증가 수차례 반복하며 운동, 식이조절 등 생활 습관 교정 시도하였으나 과체중 지속되어 체중 감량 위한 절식요법 및 한방치료 위해 2024년 2월 1일 본원 내원함.

6) 사회력

음주력 및 흡연력 없음.

7) 계통적 문진

수면: 별무이상

식욕/소화: 별무이상

대변: 1일 1회, 정상변

소변: 별무이상

한열: 별무이상

월경력: 별무이상

8) 결과

상기 환자는 별도의 특이 과거력이 없는 20세 여성으로, 내원 시 측정한 체성분 검사 상 BMI 28 kg/m2로 측정되었다. 이에 2024년 1월 24일부터 본원에서 절식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내원 시 측정된 환자의 체성분 검사 결과와 절식 프로그램에 따른 변화는 아래와 같다(Table 5). 환자는 절식 프로그램 시행 전 체중 79.1 kg에서 시행 후 체중 75.3 kg으로 총 3.8 kg의 체중을 감량하였다. 이와 함께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허리둘레에서도 수치 호전이 관찰되었다.

Change of Body Composition (Case 1)

VariableBefore prefastingAfter prefastingAfter fasting2 week after refeeding3 week after refeeding
Weight (kg)79.178.373.87675.3
Fat free mass (kg)44.445.639.644.344.1
Total body water (L)32.533.328.832.432.2
Protein (kg)8.697.88.78.6
Minerals (kg)3.333.352.973.243.33
Body fat mass (kg)34.732.734.231.731.2
Body mass index (kg/m2)2827.726.126.926.7
Percent body fat (%)43.941.746.441.741.4
Basal metabolic rate (kcal)13291356122513281323
Muscle mass (kg)2424.921.52423.8
Waist-to-hip ratio10.990.990.950.94


구체적으로 체성분 중 체지방량은 34.7 kg에서 31.2 kg으로 3.5 kg 감소하였으나, 체지방을 제외한 제지방량은 44.4 kg에서 44.1 kg으로 0.3 kg 감소하였다. 또한 환자의 근골격량도 24 kg에서 23.8 kg으로 0.2 kg 감소하였다(Table 5, Fig. 1). 이는 감소한 체중에서 약 90% 이상이 체지방으로 구성되었으며, 제지방량과 골격근량은 유사한 정도로 유지하면서 체지방 위주의 감량 효과를 보였음을 보여준다.

Fig. 1. Change of body weight, fat mass, fat free mass (Case 1).

또한 각 시기별로 보았을 때, 절식기 종료 후 체중 73.8 kg으로 가장 높은 감량 효과를 보인 후 회복식기 2주차, 3주차를 걸쳐 75.3 kg으로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같은 시기에 체지방량은 34.2 kg에서 31.2 kg으로 감소한 반면, 제지방량이 39.6 kg에서 44.1 kg로 증가한 양상을 보여 이러한 체중 증가는 주로 제지방량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제지방량 중 체수분량이 같은 시기에 28.8 kg에서 32.2 kg으로 증가한 양상을 보여 회복식기에 나타나는 체중 증가는 절식기에 감소한 체수분량이 회복식기를 통해 회복되며 생긴 결과로 생각된다.

절식 프로그램 동안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Table 6). 본 환자의 경우, CRP 수치가 절식기 이전 0.71 mg/dL, 절식기 이후 1.1 mg/dL로 정상범위에 비해 다소 높게 유지되었다. 이와 함께 RBC와 hemoglobin 수치가 증가하였음이 관찰되었다. 이 외 수치는 특이 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Laboratory Test after Fasting Period (Case 1)

VariableBefore fastingAfter fastingUnit
AST1413U/L
ALT128U/L
GGT1111U/L
ALP5760U/L
Na140138mmol/L
K4.74.2mmol/L
Cl105102mmol/L
Protein6.97.2g/dL
Albumin4.44.3g/dL
WBC8180883010^3/μL
RBC4.334.8310^6/μL
Hemoglobin10.311.2g/dL
Hematocrit3437.6%
Platelet count53550310^3/μL
CRP0.711.1mg/dL
ESR3841mm/hr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Na: sodium, K: potassium, Cl: chloride,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CRP: C-reactive protein,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절식기에 시행한 혈압 검사, 혈당 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7).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혈당의 경우, 간혹 60~70 mg/dL 대로 다소 낮게 측정되는 양상이 있었으나 어지러움, 울렁거림 등의 증상을 호소한 바는 없었다. 그러나 절식기 동안 혈당 저하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주기적인 혈당 검사 및 증상 여부 확인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Sugar during Fasting Period (Case 1)

VariableDay 1Day 2Day 3Day 4Day 5Day 6Day 7
Systolic blood pressure (mmHg)104104105121102110111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66605973667770
Variable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
Glucose (mg/dL)-8579756969671007011274897369


5. 증례 21) 성별/연령

F/20

2) 체중, 신장

77.8 k g, 1 65.0 cm

3) 과거력

2023년 9월 급성 피로감 및 오심 증상으로 타병원에서 급성 간염 진단하에 입원 치료 받은 이력 있음.

4) 가족력

특이 가족력 없음.

5) 현병력

2023년 9월 타병원에서 급성 간염 진단하에 입원치료 시행한 후 현재는 특이소견 없는 환자분으로, 최근 1년간 체중 감량 및 재증가 수차례 반복하며 운동, 식이조절 등 생활 습관 교정 시도하였으나 과체중 지속되어 체중 감량 위한 절식요법 및 한방치료 위해 2024년 2월 1일 본원 내원함.

6) 사회력

음주력 및 흡연력 없음.

7) 계통적 문진

수면: 별무이상

식욕/소화: 별무이상

대변: 1일 1회, 정상변

소변: 별무이상

한열: 별무이상

월경력: 별무이상

8) 결과

상기 환자는 23년 9월 급성 간염 이력이 있던 20세 여성으로, 해당 과거력과 관련하여 내원 시에는 별도의 특이소견이 나타나지 않았다. 내원 시 시행한 체성분 검사상 BMI 28.6 kg/m2로 측정되었으며, 이에 2024년 1월 24일부터 본원에서 절식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환자의 체성분 검사 결과와 절식 프로그램에 따른 환자의 변화는 아래와 같다(Table 8). 환자는 절식 프로그램 전 체중 77.8 kg에서 절식 프로그램 후 체중 73.9 kg으로 총 3.9 kg의 체중을 감량하였다. 이와 함께 절식 프로그램 후에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복부-허리둘레에서도 수치 호전이 관찰되었다.

Change of Body Composition (Case 2)

VariableBefore prefastingAfter prefastingAfter fasting2 week after refeeding3 week after refeeding
Weight (kg)77.87773.474.273.9
Fat free mass (kg)48.348.445.947.848.5
Total body water (L)35.335.333.434.835.4
Protein (kg)9.49.59.29.39.4
Minerals (kg)3.583.583.353.673.68
Body fat mass (kg)29.528.627.526.425.4
Body mass index (kg/m2)28.628.32727.327.1
Percent body fat (%)37.937.137.435.534.4
Basal metabolic rate (kcal)14141416136214031417
Muscle mass (kg)26.526.625.526.126.4
Waist-to-hip ratio0.940.940.930.90.91


구체적으로 체성분 중 체지방량 29.5 kg에서 25.4 kg으로 4.1 kg 감소하였으며, 체지방을 제외한 제지방량은 48.3 kg에서 48.5 kg으로 0.2 kg 증가하였다. 또한 환자의 근골격량은 26.5 kg에서 26.4 kg으로 0.1 kg 감소하였다(Table 8, Fig. 2). 이는 이전 증례에서와 같이 제지방량과 골격근량을 유지하면서 체지방 위주의 감량 효과를 보였음을 나타낸다.

Fig. 2. Change of body weight, fat mass, fat free mass (Case 2).

또한 각 시기별로 보았을 때, 절식기 종료 후 체중 73.4 kg으로 가장 높은 감량 효과를 보인 후 회복식기 2주차, 3주차를 걸쳐 73.9 kg으로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같은 시기에 체지방량은 27.5 kg에서 25.4 kg으로 감소한 반면, 제지방량은 45.9 kg에서 48.5 kg로, 그 중 체수분량은 33.4 kg에서 35.4 kg으로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이전 증례와 유사한 양상으로, 회복식기에 발생하는 체중 증가가 대부분 제지방량, 체수분량의 회복에 의해 발생함을 시사한다.

절식기 동안 시행한 혈액검사 결과는 아래와 같다(Table 9). 본 환자의 경우에도 RBC와 hemoglobin 수치가 증가하였음이 관찰되었다. 이는 이전 증례에서도 관찰된 특징으로, 7일간 경구 식이를 중단하였음에도 RBC와 hemoglobin 수치가 증가한 양상을 보였다. 이 외에 수치는 특이소견을 보이지 않았다.

Laboratory Test after Fasting Period (Case 2)

VariableBefore fastingAfter fastingUnit
AST1414U/L
ALT88U/L
GGT1110U/L
ALP5961U/L
Na136137mmol/L
K43.9mmol/L
Cl105100mmol/L
Protein6.66.8g/dL
Albumin4.44.5g/dL
WBC4520587010^3/μL
RBC4.234.8610^6/μL
Hemoglobin11.413.3g/dL
Hematocrit35.240.5%
Platelet count30728110^3/μL
CRP<0.5<0.5mg/dL
ESR1110mm/hr

AST: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lanine aminotransferase, GGT: gamma-glutamyl transferase, ALP: alkaline phosphatase, Na: sodium, K: potassium, Cl: chloride, WBC: white blood cell, RBC: red blood cell, CRP: C-reactive protein,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절식기 중 시행한 혈압 검사, 혈당 검사는 다음과 같다(Table 10). 혈압은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혈당의 경우에도 수치가 양호하게 유지되었으며, 저혈당을 시사하는 증상 호소는 없었다.

Blood Pressure and Fasting Blood Sugar during Fasting Period (Case 2)

VariableDay 1Day 2Day 3Day 4Day 5Day 6Day 7
Systolic blood pressure (mmHg)120104104105121102110
Diastolic blood pressure (mmHg)80666059736677
Variable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6AM8PM
Glucose (mg/dL)-758171791037110879110711147399

고찰

절식요법은 음식의 섭취를 체계적으로 제한하여 체내에 축적된 저장 에너지를 사용하도록 유도하고 독소와 노폐물을 제거하여 비만을 비롯한 각종 만성질환의 자연 치유를 도모하는 치료법이다6). 구체적으로는 절식기에 완전히 영양 공급을 중지하는 방법과, 제한된 열량 섭취를 허용하는 변형된 절식요법이 존재한다. 최근 연구 결과는 한약 혹은 한약에 기반한 절식보조제를 통해 제한된 열량을 공급하는 변형된 절식요법이 한방 임상 영역에서 적극적으로 사용되고 있다7-9). 구체적으로 Yun 등7)의 연구에서는 태음인을 대상으로 태음조위탕, 청폐사간탕, 청심연자탕 등을, Kim 등8)의 연구에서는 어성초, 삼백초 등으로 이용한 발효영양액을, Oh 등9)의 연구에서는 제호탕과 생맥산에 식물발효액을 첨가한 감로수를 이용하여 비만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감비경신음을 절식보조제로 사용한 절식 프로그램의 첫 번째 증례보고로 아래와 같은 유의한 결과를 보고하였다. 첫째로, 근골격량과 제지방량을 보존하면서 체중 및 체지방량의 감량 효과를 보였다. 일반적으로 단식 등을 이용한 식이요법을 통해 체중감량을 실시할 시 근육, 수분, 단백질 등 지방을 제외한 인체성분인 제지방의 과도한 손실이 동반된다17). 제지방량의 손실은 기초대사량의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식이요법 종료 후 체중이 다시 증가하는 요요현상으로 이어진다. 이전 Jung 등18)의 연구에 따르면 절식요법을 시행한 환자 65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평균적으로 체중은 -9.16±2.3 kg의 변화를 보였으며, 이중 체지방량은 평균 -3.44±2.29 kg, 근골격량은 평균 -5.42±2.71 kg의 변화를 보여 체지방량과 근골격량의 감소가 동반되는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근골격량과 제지방량을 보존하면서 체중 및 체지방량을 감소하는 특징을 보였다. 증례 1에서 체지방량이 3.5 kg 감소한 반면, 근골격량은 0.2 kg 감소, 제지방량은 0.3 kg 감소하였으며, 증례 2에서는 체지방량이 4.1 kg 감소한 반면, 근골격량은 0.1 kg 감소, 제지방량은 0.2 kg 증가하였다. 이에 근골격량과 제지방량은 거의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체지방량만을 우수하게 감량하는 양상을 보였다. 그 결과, Jung 등18)의 연구에서는 평균적으로 기초대사량이 -155.28±84.91 kcal 감소한 반면, 본 연구에서는 증례 1에서 6 kcal 감소, 증례 2에서 3 kcal 증가한 양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근골격량과 제지방량이 보존된 결과로 사료된다.

이는 절식보조제를 사용하여 절식요법을 시행한 기존 연구에 비해서도 개선된 수치이다. Lee19)은 산야초 발효영양액을 사용한 절식요법에 대한 후향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평균 골격근량은 감식기 시작일에 27.86±7.57 kg, 회복식기 종료일에 26.44±7.22 kg로 평균 1.4 kg 가량 감소한 양상을 보였다. 또한 기초대사량은 감식기 시작일에 1,453.00±242.95 kcal, 회복식기 종료일에 1,407.24±232.23 kcal로 평균 46 kcal 가량 감소하였다. Kim 등8)은 어성초, 삼백초 등의 한약을 발효시킨 영양액을 사용한 절식요법에 대한 증례를 발표하였으며, 해당 증례에서는 감식기 시작 전 근골격량 48.9 kg, 회복식기 종료 후 근골격량 47.2 kg으로 1.7 kg 가량 감소한 양상을 보였고, 기초대사량은 감식기 시작 전 1,502 kcal, 회복식기 종료 후 1,464 kcal로 38 kcal 가량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비해 근골격량 및 기초대사량의 감소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감비경신음을 이용한 절식요법이 기존 절식요법에 비해 근골격량과 기초대사량을 유지하여 체중 재증가 현상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단, 본 연구는 2례에 한정되어 있어 후속 연구를 통한 추가적 검증 및 통계적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두 번째로, 두 환자 모두 절식요법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기존 절식 연구에서 보고된 부작용으로는 피부 자반증, 담석증, 전신무력감, 오심, 현훈, 불면, 구토, 소양감, 변비 등19,20)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혈압도 양호하게 유지되었다. 단, 증례 1의 경우 환자가 저혈당 증상을 호소하지는 않았으나, 공복혈당이 다소 낮게 측정되는 양상이 있어 저혈당 부작용에 대한 주의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결과는 감비경신음과 절식 프로그램 중 시행된 다양한 중재의 효과에 기인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기존 연구에서 감비경신음에 포함된 의이인은 동물모델에서 체중 및 복부 지방 축적을 감소시켰으며, 당귀는 동물모델에서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산 합성효소와 adipocytokine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황기 또한 동물 모델에서 체중 감량 효과를 보였다. 또한 용안육은 불면을 개선하고14), 불안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으며21), 의이인은 장내미생물 구성을 변화시켜 장 운동성을 개선할 수 있다22). 교이는 절식기에 필수적인 열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개별 약제의 효과에 기반하여 감비경신음이 절식요법의 효과를 증대하고 부작용을 완화하였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단, 이는 개별 약제에 한정된 결과로 추후 감비경신음의 기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감식기에 사용된 필감을 구성하는 숙지황은 기존 연구를 통해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 생성을 억제함이 밝혀졌으며23), 창출은 체중 감소 및 지방 생성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다24). 이외에도 마황과 석고의 혼합물은 지방세포의 분화 과정에서 비만 관련 전사인자의 발현을 조절하고 체중 감소, 식사량 감소, 지질 수치를 개선하는 등의 효과를 보였다25). 이에 필감은 감식기에 체중 조절과 식욕 억제에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절식 프로그램 중 활용되는 청장캡슐의 주성분인 대황은 대장운동을 촉진하여 대변을 통한 장내 독소 배출을 도우며26), 대황에 의한 장내미생물의 변화는 비만과 당뇨 특성을 억제할 수 있다27). 한약 치료와 함께 시행되는 장침전기자극술은 체중, 허리둘레, 체질량지수, 체지방량을 감소시키며28), 인삼 약침은 비만 환자의 근육량과 단백질량, 기초대사량을 증가시켜 체중 및 체지방 감량을 유도할 수 있다29). 이외에도, 각 절식 단계별로 영양 섭취량을 고려하여 의료진이 적절한 수준의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병행하도록 하였으며, 특히 영양 섭취가 극도로 제한되는 절식기에는 입원 치료를 통해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하였다. 이를 통해 절식 기간 중에도 안전하게 적절한 신체 활동을 유지하여 체중 감량과 근골격량 유지에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본 절식 프로그램의 결과는 이러한 다양한 중재의 효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각 중재의 개별적인 효과와 그 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추가적으로, 두 증례에서 모두 혈액검사 상 RBC와 hemoglobin 수치가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절식 요법의 결과로 인체 에너지 수준이 감소하며 불필요하거나 손상된 세포 구성 요소를 분해하여 재사용하는 자가 포식과정이 활성화되고30), 자가 포식을 통해 기능이 손상된 혈구 세포들이 대체되며 새로운 혈구를 생성하기 위해 조혈모세포들의 재생이 촉진되는 기전31)이 일부 영향을 미칠 수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단식으로 인해 체내 수분량이 감소하여 혈액 농축 현상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도 존재하기에 후속 연구를 통한 확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개발한 감비경신음과 이를 이용한 절식프로그램을 최초로 보고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다만, 아래와 같은 한계가 존재한다. 첫째로, 증례가 2례에 불과하여 치료 효과를 일반화하기 어렵다. 둘째로, 절식기에만 혈액검사 및 혈압, 혈당검사가 진행되어 장기적인 효과와 부작용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셋째로, 절식요법을 시행하는 동안 다양한 중재가 복합적으로 수행되어 개별 중재의 효과를 확인하기 어렵다. 마지막으로, 절식요법 기간 동안 운동, 식이 등 생활 습관이 엄격히 통제되어야 하나 감식기와 회복식기는 통원 치료로 이루어져 엄격한 통제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추후 이러한 한계를 보안한 추가적인 연구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요약

본 연구는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개발한 감비경신음과 이를 이용한 절식 프로그램을 보고하였다. 감비경신음과 절식 프로그램은 유의미한 체중감량 효과와 함께 근골격량과 제지방량, 기초대사량을 보존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체중 감량을 유지하고 요요현상을 예방함에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절식 기간 중 별도의 부작용이 나타나지 않았다. 단 이는 2례에 한정된 결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진은 향후 경희대학교 한방재활의학과에서 개발한 감비경신음과 절식 프로그램의 활발한 활용과 추가적 연구를 기대한다.

Conflict of Interest

No potential conflict of interest relevant to this article was reported.

References
  1. Powell-Wiley TM, Poirier P, Burke LE, Després JP, Gordon-Larsen P, Lavie CJ, et al.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a scientific statement from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Circulation. 2021 ; 143(21): e984-1010.
    Pubmed KoreaMed CrossRef
  2. Ruze R, Liu T, Zou X, Song J, Chen Y, Xu R, et al. Obesity and type 2 diabetes mellitus: connections in epidemiology, pathogenesis, and treatments. Front Endocrinol (Lausanne). 2023 ; 14: 1161521.
    Pubmed KoreaMed CrossRef
  3. Seravalle G, Grassi G. Obesity and hypertension. Pharmacol Res. 2017 ; 122: 1-7.
    Pubmed CrossRef
  4. Lauby-Secretan B, Scoccianti C, Loomis D, Grosse Y, Bianchini F, Straif K, et al. Body fatness and cancer--viewpoint of the IARC working group. N Engl J Med. 2016 ; 375(8): 794-8.
    Pubmed KoreaMed CrossRef
  5. World Obesity Foundation. World obesity atlas 2023 [Internet]. 2023 [cited 2024 Jun 11]. https://www.worldobesity.org/resources/resource-library/world-obesity-atlas-2023
  6. The Society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5th ed. Seoul: Koonja Publisher. 2020 : 464-7.
  7. Yun KH, Yeom SR, Lee JH, Kwon YD, Song YS, Shin BC, et al. The clinical study on the change of bone mineral density during fasting therapy of Taeumin obese patients. J Oriental Rehab Med. 2002 ; 12(4): 1-10.
  8. Kim KW, Chung WS, Chung SH. A clinical case study on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 and blood chemistry after modified fasting therapy in a patient with obesity. J Korean Med Obes Res. 2010 ; 10(1): 49-56.
  9. Oh DS, Kim DH, Shin HT, Shin SU. A pilot study to develop gamrosu, a modified fasting therapy beverage: case series. J Korean Med Obes Res. 2015 ; 15(2): 153-61.
    CrossRef
  10. Zhao L, Rao S, Zhu X, Liu S, Tao Q, Yang X, et al. Coicis Semen formula treating monosodium glutamateinduced obesity in mice by alleviating hypothalamic injury. Food Agric Immunol. 2019 ; 31(1): 84-99.
    CrossRef
  11. Rao SY. Beneficial effects of Coicis Semen formula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in mice. Chin Tradit Herb Drugs. 2020 ; 24: 397-405.
  12. Ho SC, Hwang LS, Shen YJ, Lin CC. Suppressive effect of a proanthocyanidin-rich extract from longan (Dimocarpus longan Lour.) flowers 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LPS-stimulated macrophage cells. J Agric Food Chem. 2007 ; 55(26): 10664-70.
    Pubmed CrossRef
  13. Kim MR, Lim EM. Effects of Longanae Arillus water extract on inflammatory response and cytokines in mouse macrophage cells. J Korean Obstet Gynecol. 2014 ; 27(2): 1-11.
    CrossRef
  14. Ma Y, Eun JS, Lee KS, Lee ES, Kim CS, Hwang BY, et al. Methanol extract of Longanae Arillus regulates sleep architecture and EEG power spectra in restraintstressed rats. Nat Prod Sci. 2009 ; 15(4): 213-21.
  15. Hwang JT, Kim SH, Hur HJ, Kim HJ, Park JH, Sung MJ, et al. Decursin, an 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Angelica gigas, inhibits fat accumulation, reduces adipocytokine secretion and improves glucose tolerance in mice fed a high-fat diet. Phytother Res. 2012 ; 26(5): 633-8.
    Pubmed CrossRef
  16. Huang YC, Tsay HJ, Lu MK, Lin CH, Yeh CW, Liu HK, et al. Astragalus membranaceus-polysaccharides ameliorates obesity, hepatic steatosis, neuroinflammation and cognition impairment without affecting amyloid deposition in metabolically stressed APPswe/PS1dE9 mice. Int J Mol Sci. 2017 ; 18(12): 2746.
    Pubmed KoreaMed CrossRef
  17. Leibel RL, Rosenbaum M, Hirsch J. Changes in energy expenditure resulting from altered body weight. N Engl J Med. 1995 ; 332(10): 621-8.
    Pubmed CrossRef
  18. Jung SK, Kim DE, Yu DS, Yeom SR, Song YS, Kwon YD. The retrospective study on modified fasting therapy in inpatients. J Oriental Rehab Med. 2008 ; 18(4): 171-87.
  19. Lee EJ. The changes of body compositions after modified fasting therapy: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J Korean Med Obes Res. 2016 ; 16(2): 116-23.
    CrossRef
  20. Park W, Cha Y. Review of clinical study on fasting for obesity: focused on Korean medicine research. J Korean Med Obes Res. 2016 ; 16(1): 50-63.
    CrossRef
  21. Okuyama E, Ebihara H, Takeuchi H, Yamazaki M. Adenosine, the anxiolytic-like principle of the arillus of Euphoria longana. Planta Med. 1999 ; 65(2): 115-9.
    Pubmed CrossRef
  22. Zhang Y, Liu Y, Wang X, Yang X, Li Y, Liu H, et al. Regulatory effect of Semen Coicis prescription on intestinal flora and microenvironment in mice. Chin J Microecol. 2018 ; 30(1): 1-5.
  23. Jiang L, Zhang NX, Mo W, Wan R, Ma CG, Li X, et al. Rehmannia inhibits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8 ; 371(2): 185-90.
    Pubmed CrossRef
  24. Kim CK, Kim M, Oh SD, Lee SM, Sun B, Choi GS, et al. Effects of Atractylodes macrocephala Koidzumi rhizome on 3T3-L1 adipogenesis and an animal model of obesity. J Ethnopharmacol. 2011 ; 137(1): 396-402.
    Pubmed CrossRef
  25. Kee YB, Kim DH, Yang MS, Kang DH, Kim SJ, Choi JB. Effect of mixed extract of Ephedrae Sinica and Fibrosum Gypsum on differentiation of preadipocytes and obesity of rats. J Oriental Rehab Med. 2014 ; 24(3): 11-27.
  26. Kon R, Ikarashi N, Nagoya C, Takayama T, Kusunoki Y, Ishii M, et al. Rheinanthrone, a metabolite of sennoside A, triggers macrophage activation to decrease aquaporin-3 expression in the colon, causing the laxative effect of rhubarb extract. J Ethnopharmacol. 2014 ; 152(1): 190-200.
    Pubmed CrossRef
  27. Wei Z, Shen P, Cheng P, Lu Y, Wang A, Sun Z. Gut bacteria selectively altered by sennoside A alleviate type 2 diabetes and obesity traits. Oxid Med Cell Longev. 2020 ; 2020: 2375676.
    Pubmed KoreaMed CrossRef
  28. Song SM, Song YK, Lim HH.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abdominal fat deposit and parameters for obesity. J Oriental Rehab Med. 2010 ; 20(2): 113-27.
  29. Hwang JH, Jung HW. Effects of pharmacopuncture with wild ginseng complex in 2 elderly patients with obesity: case report. Medicine (Baltimore). 2018 ; 97(28): e11534.
    Pubmed KoreaMed CrossRef
  30. Brandhorst S, Choi IY, Wei M, Cheng CW, Sedrakyan S, Navarrete G, et al. A periodic diet that mimics fasting promotes multi-system regeneration, enhanced cognitive performance, and healthspan. Cell Metab. 2015 ; 22(1): 86-99.
    Pubmed KoreaMed CrossRef
  31. Cheng CW, Adams GB, Perin L, Wei M, Zhou X, Lam BS, et al. Prolonged fasting reduces IGF-1/PKA to promote hematopoietic-stem-cell-based regeneration and reverse immunosuppression. Cell Stem Cell. 2014 ; 14(6): 810-23.
    Pubmed KoreaMed CrossRef


December 2024, 24 (2)
Full Text(PDF) Free

Services

Cited By Articles
  • CrossRef (0)